반응형

전체 글 208

우주의 크기는 어느정도일까?

우주는 모든 물질과 에너지, 은하, 별, 행성 등 공간과 시간을 포함하여 존재하는 모든 것이다. 우주는 약 138억 년 전에 발생한 대규모 폭발인 빅뱅과 함께 시작된 것으로 알려져 있다. 그 이후로 우주는 팽창하고 있으며 은하들은 서로 멀어지고 있다. 현재 유력한 이론은 우주가 암흑 에너지로 알려진 불가사의한 힘에 의해 가속화된 속도로 계속 팽창할 것이라는 것이다. 그러나 우주의 팽창이 결국 느려지고 중력으로 인해 자체적으로 붕괴되어 "빅 크런치"가 발생할 것이라는 주장도 있다. 일부 과학자들은 또한 우주가 붕괴가 새로운 확장으로 이어지는 "바운스"를 포함할 수 있다고 제안했다. 우주의 정의 영어사전에 우주를 검색해 보면 크게 3가지로 나오는 것을 볼 수 있다. 스페이스(space) : 작은 우주 / 보..

눈썹은 왜 머리카락처럼 자라지 않을까?

눈썹은 눈 위에 위치한 짧은 털이다. 눈과 함께 사람의 인상을 크게 좌우하기도 하며 이물질 등이 눈에 들어가지 못하도록 막는 역할을 한다. 눈썹은 왜 머리카락만큼 자라지 않을까? 머리카락은 길게 자라는 반면 눈썹은 머리카락만큼 자라지 않는다. 이유는 눈썹과 머리카락은 성장 주기가 다르기 때문에 같은 속도로 자라지 않는다. 인체에 있는 모든 털은 성장 주기가 각각 다르다. 머리털은 일반적으로 성장 주기가 길고 훨씬 더 오래 자랄 수 있다. 반면 눈썹은 성장 주기가 머리카락보다 짧고 일정 길이만 자라게 되어있다. 더 자세히 파헤쳐 보자면 인체에 있는 모든 털은 성장기, 퇴행기, 휴지기의 단계를 거친다. 성장기 때는 털이 자라는 시기이고 퇴행기 때는 길이와 형태가 유지된다. 마지막 휴지기 때는 털이 가늘어지고..

미라는 얼마나 오랫동안 보존될 수 있을까?

미라는 화학물을 사용해 피부가 마른 상태로 보존된 시체를 말한다. 미라의 명칭은 포르투갈어를 통해 들어온 말로 고대 이집트에서 미라를 만들 때 방부제로 썼던 몰약을 부르는 말이다. 몰약(Myrrh) : 쓴맛이 나며 향기가 좋고 적갈색의 함유수지 고무이다. 화장품, 약제 등에 쓰인다. 미라는 어떻게 만들까? 미라를 만드는 과정은 지역의 문화와 시대에 따라 다양하다. 우리가 미라를 하면 떠오르는 대표적인 고대 이집트의 일반적인 미라 제작 방법. 1. 방부처리 일반적으로 코나 입을 통해 뇌와 장기들을 제거하고 몸은 자연적으로 발생하는 나트론과 같은 방부제, 몰약 등으로 처리. 2. 포장 시신을 여러 겹의 천으로 감싸고 사후 세계에서 죽은 사람을 보호하기 위해 부적과 여러 가지 신성한 물건들로 장식. 3. 최종..

우리나라가 사형을 집행하지 않는 이유는 무엇일까?

사형이란? 범죄자의 생명을 박탈해 사회적 존재를 영구히 말살하는 형벌이다. 우리나라는 사형 폐지국가로 알고 있는 사람들이 많다. 사실 우리나라는 사형 폐지국가는 아니다. 정확히는 실질적 사형 폐지국가이다. 말 그대로 법적으로는 완전히 폐지되지 않았다는 말이다. 실제로 사형 판결을 내릴 수 있다. 다만 사형판결을 받은 사형수는 존재하지만 사형을 집행하지는 않는다. (현재 100명 가까운 사형수들이 있다.) 우리나라 외에도 여러 개 국이 사형제도는 있지만 사형을 집행하지 않고 있다. 우리나라에서 사형은 1979년부터 1997년까지 57건의 사형집행이 있었고 마지막의 사형집행은 1997년 12월 30일 23명에 대한 사형집행이 마지막이다. 우리나라가 사형을 집행하지 않는 이유는 무엇일까? 1997년 김영삼 대..

소고기는 왜 익히지 않고 먹어도 괜찮을까?

소고기(쇠고기) : 소의 고기를 뜻한다. 소는 거의 대부분은 식용으로 쓰인다. 흔히 사람들은 돼지고기는 속까지 다 익혀서 먹어야 한다고 하고 소고기는 덜 익혀 먹어도 된다고 한다. 심지어는 육사시미, 육회 등 날것으로 먹기도 한다. 왜 그런 걸까? 돼지고기는 익혀야 하고 소고기는 왜 익히지 않고 먹어도 괜찮을까? 돼지는 잡식동물이라 기생충 감염 확률이 높기 때문이다. 돼지에 있는 기생충인 유구조충(숙주의 내장에 기생하는 기생충)이 있을 수 있기 때문에 꼭 익혀 먹어야 한다. 유구조충이 몸속에 들어온다면 소화장애, 복통, 구토, 설사 등의 증상을 보일 수 있다. 특히 뇌, 눈에 낭충이 있을 경우는 치명적일 수 있다. 반면 소고기는 초식동물이라 기생충 감염확률이 낮다. 그렇다고 기생충 감염 위험이 아예 없는..

전자레인지의 원리는 무엇일까?

전자레인지는 고주파로 가열하는 조리 기구이다. 전자기파를 이용해 음식을 데우거나 해동시킬 때 사용한다. 전자레인지라는 단어는 일본에서 만들어 붙인 일본식 단어인데 영어의 번역의 명칭은 마이크로웨이브 오븐이다. 전자레인지로 조리할 경우에 제일 큰 장점은 조리시간이 짧다는 점이다. 간혹 전자파가 음식의 구성분자를 뒤섞어 영양분들을 파괴하고 건강에 위험한 물질이 생긴다는 주장이 있다. 전자레인지의 전자파는 수분만을 진동시켜서 열을 가하는 역할이기 때문에 과학적 근거가 없는 주장이다. 오히려 조리시간이 짧아 영양분 보존에 유리하다고 한다. 전자레인지의 원리 현대인들에게 없어서는 알 될 필수 가전제품 중 하나가 전자레인지다. 간편하게 데우거나 조리할 수 있어 없어서는 안 될 존재로 자리 잡고 있다. 하지만 정작 ..

지구에서 가장 추운 곳은 어디일까?

약 98%가 얼음으로 덮여있는 남극. 지구에서 가장 추운 곳은 어디일까? 바로 남극이다. 남극은 아시아, 아메리카, 아프리카에 이어서 세계에서 4번째로 큰 대륙이다. 남극지역은 거의 대부분이 얼음으로 덮여 있는데 얼음 평균 두께가 1.5 ~ 2km이다. 남극지역의 98%가 얼음으로 덮여있다. 남극은 육지이고 높게 형성되어 태양의 빛이 적은데 그마저도 대부분을 반사해서 북극보다 기온이 더 낮다. 남극에서 기록된 가장 낮은 온도는 1983년 7월 21일에 러시아 보스토크 기지에서 측정한 -89.2℃이다. 남극은 24시간이 낮이거나 24시간이 밤인 날이 있다. (지구가 23.5°기울어져 있고 자전과 공전을 하기 때문이다.) 우주에서 지구로 유입되는 입자들이 고층대기의 기체들과 충돌하여 빛을 내는 현상인 오로라..

지구가 자전을 멈추면 어떻게 될까?

자전이란? 지구가 자전축을 중심으로 하루에 1바퀴씩 도는 현상이다. 지구가 자전을 멈추면 어떻게 될까? 먼저 지구의 자전으로 인한 제일 큰 현상은 낮과 밤의 발생이다. 태양의 일주운동(태양, 별 등 북극성 중심으로 하루에 1바퀴 회전하는 운동)이 발생하여 낮과 밤이 생기는 원인이 되는데 지구가 자전을 멈추게 되면 지구의 한쪽면은 계속해 태양의 빛을 받으며 뜨거워지고 태양의 빛을 받지 못하는 다른 한쪽은 차가워지게 된다. 그렇게 되면 생태계가 파괴되는 물론 인류에도 큰 영향을 끼쳐 멸종 위기에 놓이게 될 것이다. 그전에 관성으로 인해 빠른 속도로 튕겨져 나가 인류가 멸종하는 것이 먼저일 것이다. (자동차를 타고 가다가 급정거를 하면 앞으로 튕겨져 나가는 원리로 보면 된다.) 지구의 자전 속도는 어느 정도 ..

전기뱀장어는 어떻게 전기를 만들까?

생물 중에서 가장 강력한 전류를 만들어내는 전기뱀장어. 전기뱀장어는 이름과 달리 뱀장어과는 아니고 김노투스 목 김노투스과에 속한다. 잉어나 메기에 가깝다고 한다. 재미있는 사실은 수면에 나와 공기를 마시는데 15분 이상 물 밖으로 나오지 못하면 죽는다. 전기뱀장어가 전기를 발생시켜 내뿜는 최대 전압은 900V이상이다. 웬만한 동물들은 접촉했다 하면 즉사 또는 기절이다... 생김새는 뱀장어와 비슷하고 몸길이는 최대 2.5m 이상에 최대 몸무게 20kg 이상이다. 대부분의 내장은 거의 머리 쪽에 위치하고 있다. (배설기관 까지도 목 쪽에 위치해 있다.) 한마디로 4/5가 꼬리이다. 평상시에도 잔류를 물에 흘려 물속에 있는 물체나 먹이를 탐색하고 전기뱀장어끼리 서로 신호를 보낼 수도 있다. 전기뱀장어는 어떻게..

바나나는 씨가 있을까?

바나나는 외떡잎식물 생강목 파초과 파초속에 속하는 식물이다. 이 식물의 열매를 바나나라고 한다. 원산지는 열대 아시아다. 바나나는 나무라고 부르지만 사실은 나무가 아닌 여러해살이 풀이다. 열매인 바나나는 일반적으로 과일로 분류한다. 나무가 아니라 풀인 점을 들어 채소라는 주장도 있다. 하지만 식물학적으로도 바나나는 과일이며 과일 분류(이과, 핵과, 장과, 취과, 은화광 견과, 삭과 등)중에서는 장과에 속한다. 바나나와 사람의 DNA구조는 약 60% 정도로 비슷하다. 사람 인체에서 일어나는 모든 화학반응의 50% 정도는 바나나 내에서도 동일하게 이루어진다. 우리가 먹는 바나나는 송이로 판매되고 있지만 이것은 송이의 일부분이다. 실제로 나무에 열리는 바나나 송이는 수 십 개의 바나나가 달려있다. 열매는 나무..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