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전체 글 208

인류 역사상 가장 강력한 무기는 무엇일까?

인류 역사상 가장 강력한 무기 폭탄. 그중에서도 가장 강력한 폭탄은 차르봄바(수소폭탄)이다. 인류 역사상 가장 강력한 수소폭탄은 무엇일까? 차르봄바. 1961년 소련에서 실험했던 수소폭탄이다. 폭탄의 크기는 길이 8m, 지름 2m, 무게 27t이다. 크기도 굉장히 크고 위력도 어마어마하다. 차르봄바의 위력은 어느 정도일까? 위력은 50Mt(TNT 50,000,000t)이다. 어느 정도인지 감이 잡히지 않겠지만 조금이나마 이해를 돕기 위해 설명하자면 사상 최초로 실전에 사용되었던 리틀보이. 1945년 히로시마 원자폭탄으로 더 유명한 리틀보이의 위력은 15Kt(TNT 15,000t)이다. 이 리틀보이보다 차르봄바가 무려 3,333배 강력하다. 더 더 더 쉽게 설명하자면 5억만 명 가까이의 사망자를 발생시킬 ..

태양의 온도는 얼마나 될까?

가장 뜨거운 물질은 무엇일까? 정답은 태양이다. 태양계에서 가장 큰 전체이다. 지름은 약 139만 2천 km로 지구보다 109배 크고 지구보다 33만 배 무겁다. 태양에서 지구까지의 거리는 약 1억 5천만 km에 달하는데 태양 빛이 지구에 도착하기까지는 약 8분 20초가량 걸린다. 태양의 온도는 얼마나 될까? 과학자들은 태양 표면의 온도는 약 6,000℃라고 추정한다. 상상조차 하기 힘든 엄청난 수치의 온도이다. 그럼 태양의 온도는 어떻게 측정을 했을까? 스펙터 분석이라고 하는 방법을 이용한다. 프리즘을 이용하여 태양빛을 여러 색깔로 분해하는 방법이다. 태양빛은 노란색에 가깝다. 이것을 실험 테이터와 비교 분석해 태양의 표면 온도가 나오는 것이다. 신기한 건 온도뿐만 아니라 빛의 색깔을 보고 그 별이 어..

나침반은 어떤 원리일까?

지구는 하나의 큰 자석이다. 나침반은 나침이 남북을 가리키는 특성을 이용하여 만든 방향 지시계기이다. 나침반의 원리 나침반의 원리는 자성을 이용해 작동한다. 지구는 자성체라 N극은 항상 북쪽을 가리키고 S극은 항상 남쪽을 가리키게 되는 원리이다. 나침반의 발명 나침반이 발명에 대해 여러 가지 설이 있다. 그중 제일 유력한 설은 기원전 2세기에서 기원후 1세기 사이에 풍수지리적 목적으로 발명된 설이다. 이후 중국에서 유럽으로 전해졌다는 설, 유럽에서 12세기 전후로 독자적으로 발명되었다는 설 등이 있다. 나침반의 특징 자석을 이용한 나침반은 지구의 자성을 이용하므로 오차는 존재한다. 항법에는 매우 중요해서 항공기나 배 같은 경우 오차 카드를 같이 놓아둔다. 진짜 지구의 남극 북극을 알려주는 나침반도 있긴 ..

돌고래는 왜 물 위로 점프를 할까?

돌고래는 고래목 이빨고래아목에 속하는 해양포유류이다. 돌고래는 왜 물 위로 점프를 할까? 돌고래를 상상하면 물 위로 점프하는 모습을 떠올릴 수 있다. 예쁘게 포물선을 그리며 점프를 하기도 하지만 공중에서 몸을 비틀어 점프를 하기도 한다. 이유는 무엇일까? 그 이유는 여러 가지가 있다. 1. 깨끗이 씻자. 점프를 하고 수면에 떨어지는 과정에서의 충격으로 몸에 있는 피부 때나 기생충 등을 떨어뜨릴 때 점프를 한다. 2. 멀리도 내다보고 해야지. 일반적으로 돌고래는 음파를 이용해 사물과 지형 등을 탐지하지만 눈으로 보는 시각도 중요하기 때문에 점프를 해 주변 사물을 인지한다. 3. 아 힘들다. 힘 좀 아껴야겠다. 돌고래가 이동을 할 때 물속보다 공중에서 저항이 적기 때문에 힘을 아끼고 빠른 속도로 멀리 나아갈..

박쥐는 왜 거꾸로 매달려 있을까?

박쥐는 조류나 쥐류가 아닌 포유류 박쥐목에 속하는 동물이다. 박쥐는 왜 거꾸로 매달려 있을까? 박쥐의 다리는 퇴화되어 몸을 지탱할 수 없다. 퇴화된 이유는 박쥐가 날기 위해서는 무게를 최대한 줄여야 하는데 그중 다리의 무게를 줄이는 쪽으로 진화했다. 다리에 근육이 없고 스스로 서있을 수 없기 때문에 발가락 힘을 이용해 거꾸로 매달려 있다. 다리는 힘줄로만 되어있어 발에 힘을 주지 않고도 자연스럽게 벽이나 나무에 매달릴 수 있는 구조로 되어있다. 물론 거꾸로 매달려 있다고 해서 피가 머리로 쏠리거나 하지 않는다. 거꾸로 매달리는 게 더 자연스럽게 진화되어 있다. 재미있는 사실은 잠시동안 서있을 때가 있는데 이때는 용변을 볼 때이다. 박쥐의 형태 박쥐는 샐 수 없을 정도로 많은 종이 있다. 그에 비해 모든 ..

하품을 하는 이유는 무엇일까?

우리 몸에 산소농도를 높이기 위해 나오는 생리적인 현상이다. 하품을 하는 이유 우리는 피곤하거나 잠이 올 때 하품을 하곤 한다. 당연히 자연스럽게 발생하는 생리현상이다. 잠이 오면 호흡수가 줄어들고 체내에 산소농도가 줄어들게 되고 몸에 쌓인 이산화탄소가 많아져 피로함을 느낀다. 따라서 우리 몸에 이산화탄소를 배출하고 산소를 흡입하기 위해 숨을 크게 들이쉬어 하품을 하게 되는 것이다. 또 하품을 하면서 안면 근육이 크게 움직여 뇌의 온도를 낮추고 뇌기능을 자극하여 활성화시킨다는 의견도 있다. 동물들도 하품을 할까? 사람뿐만 아니라 포유류, 파충류, 조류 등에도 일어난다고 알려져 있다. 고양이나 강아지와 같이 지내는 사람들은 하품하는 동물들의 모습을 많이 봤을 것이다. 하품은 전염이 될까? 하품은 전염이 된..

술은 유통기한이 없을까?

술의 종류 / 술을 만드는 과정에 따라 유통기한이 달라진다. 술의 종류 술은 크게 양조주(발효주)와 증류주로 나뉜다. 양조주(발효주)는 곡류나 과일 등의 원료로 발효시켜 만든 술이다. 알코올 함량은 일반적으로 1도에서 20도 이하로 알코올 함량이 증류주보다 낮은 편이고 맛과 향미가 뛰어나다. 과실주(단발효주) 맥주(단행복 발효주) 탁주, 약주, 청주(병행복발효주) 등이 있다. 증류주는 쉽게 말하면 1차 발효된 양조주(발효주)를 다시 증류시켜 알코올 도수를 높인 술이다. 소주(주류를 증류시켜 제조) 위스키 / 보드카(곡물원료로 발효한 술을 증류시켜 숙성) 브랜디(과일원료로 발효한 술을 증류시켜 숙성) 리큐르(증류시켜 얻은 알코올에 과일, 식물, 잎 등을 섞어 제조) 럼(사탕수수나 당밀 등의 즙으로 발효시켜..

드라이 아이스는 무엇일까??

드라이아이스는 이산화탄소(CO2)를 냉각해 압축시킨 고체이다. 냉동식품이나 아이스크림을 구입하면 같이 주는 드라이아이스. 식품보존이나 의료목적, 실험실 등 사용하는 곳이 다양한 드라이아이스를 알아보자. 드라이아이스는 무엇이고 어떻게 만들어질까? 드라이아이스는 이산화탄소(CO2)를 냉동상태로 만든 고체이다. 물을 냉각한 얼음은 온도가 올라가면 액체(물) 상태로 변하지만 이와 달리 드라이아이스는 온도가 올라가면 기체로 변한다. 온도는 -78.5°C로 얼음보다 온도가 매우 낮고 냉각 효율이 좋아서 식품 보관에 매우 유용하다. 드라이아이스는 일반적으로 액체 이산화탄소가 고체가 될 때까지 압축 / 냉각하여 만든다. 풀어 말하자면 이산화탄소(CO2)에 높은 압력을 주어 급격히 팽창시키면 온도가 급격히 낮아진다. 여..

물 맛은 왜 다를까?

물 맛은 미네랄 함량에 따라 달라진다. 먹는 물 맛은 왜 다를까? 물 맛은 미네랄 함량에 따라 달라진다. 미네랄 함량이 적은 물은 깔끔하고 부드럽다. 반면에 미네랄 함량이 많은 물은 목 넘김이 강하게 느껴지고 텁텁하다. 물에 있는 미네랄 중 칼슘과 마그네슘 함량에 따라 경도도 달라진다. (미네랄 함량이 높을수록 경도가 세진다.) 경도란? 물의 세기를 말하는데 경도가 높은 물은 진한 맛을 내고 경도가 낮은 물은 연하고 담백한 맛을 나타낸다. 시중에 판매되고 있는 생수 가운데 일부는 칼슘, 마그네슘, 나트륨 등 인체에 유익한 미네랄 성분이 거의 들어 있지 않다고 한다. 미네랄 함량이 높은 물이 건강에 좋다는 설이 있는가 하면 반대로 과다한 미네랄 섭취는 인체에 해롭다는 주장도 있다. 물론 정답은 없다. 따라..

하늘은 왜 파랗게 보일까?

태양광에는 적외선, 자외선, 가시광선 등이 있다. 태양광에는 적외선, 자외선, 가시광선 이렇게 크게 3가지가 있다. 이중에 사람이 볼 수 있는 것은 가시광선이다. 가시광선은 빨간색, 주황색, 노란색, 초록색, 파란색, 남색, 보라색까지 흔히 말하는 무지개색 범위이다. 빛의 파장이 긴 쪽에서는 빨간색 계열을 보이고 파장이 짧은 쪽에서는 보라색 계열을 보인다. 하늘은 왜 파랗게 보일까? 태양광이 지구 대기층의 질소, 산소 등에 장애물을 지날 때 방해를 받게 되면서 빛이 흩어지는 산란이 일어난다. 대기의 산란 정도는 빛의 파장에 따라 달라지는데 파장이 짧은 보라색 계열의 색이 산란이 가장 강하게 일어난다. 그래서 하늘은 파란색.........응? 아니 그럼 산란이 가장 강하게 일어나는 건 파장이 짧은 보라색인..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