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게 왜 궁금하지?

지구의 계절이 바뀌는 이유는 무엇일까?

마피 2023. 2. 13. 08:04

봄-여름-가을-겨울의-순환

 

 

계절은 일 년을 날씨의 변화에 따라 나눠 놓은 것이다.

 

열대지방은 건기와 우기

온대지방은 봄, 여름, 가을, 겨울

한대지방(극지방)은 백야와 극야로 나눈다.

 

 

기후의-영역지도

  • Equatorial zone : 적도 지역
  • Subequatorial zone : 적도하대 지역
  • Tropical zone : 열대 지역
  • Subtropical zone : 아열대 지역
  • Temperate : 온대 지역
  • Subpolar zone : 아한대 지역
  • Polar zone : 한대(극지방) 지역

 

 

열대지방의 계절

열대 지역은 온난하고 습도가 높은 특징이 있으며 북반구와 남반구에서 오는 무역풍이 만나는 적도 부근 지역인 ITCZ(Intertropical Convergence Zone)의 이동으로 우기와 건기가 발생한다.

우기는 ITCZ가 특정 지역에 직접 도달하여 폭우가 발생하는 경우에 발생하고

건기는 ITCZ가 특정 지역에서 멀어져 강우량이 감소할 때 발생한다.

 

 

온대지방의 계절

 

온대 지역은 온화한 기온과 봄, 여름, 가을(가을), 겨울을 포함한 뚜렷한 계절이 특징이다. 온대지역은 열대지방과 한대지방 사이에 위치하며 일 년 내내 다양한 ​​계절이 나타난다.

 

 

한대지방(극지방)의 계절

 

일 년 내내 얼음이나 눈으로 덮여 있다. 한대(극지방) 지역의 계절은 계절에 따라 낮이나 밤이 긴 기간이 특징입니다.

겨울에는 몇 달 동안 해가 뜨지 않는 극야현상, 여름에는 몇 달 동안 해가 지지 않는 백야현상이 있다.

 

 

 

계절이 바뀌는 이유는 무엇일까?

 

계절은 지구 축의 기울기와 태양 주위의 공전으로 인해 바뀐다.

지구는 24시간마다 한 번씩 자전하고 태양 주위를 한 바퀴 도는 데 걸리는 시간은 365.25일이다. 지구가 공전함에 따라 지구 각각에 서로 다른 양의 햇빛을 받는다. 이로 인해 온도가 달라지고 계절이 바뀌는 것이다.

 

 

지구의-공전과-자전-기울기에-따라-달라지는-계절-변화

 

 

지구의 축은 태양 주위를 공전하는 궤도에 대해 약 23.5도 각도로 기울어져 있다. 이 기울기는 지구의 다른 부분이 일 년 중 다른 시간에 다른 양의 햇빛을 받는 원인이 된다.

 

북반구의 여름은 북반구가 태양 쪽으로 가까워지면 직사광선을 더 많이 받아 기온이 상승하고 낮이 길어진다.북반구의 겨울은 북반구가 태양으로부터 멀어지면 직사광선을 더 적게 받아 기온이 떨어지고 낮이 짧아진다.

마찬가지로 남반구가 태양 쪽에 가까워지면 여름, 남반구가 태양으로부터 멀어지면 겨울이 된다.

한마디로 북반구가 여름이면 남반구는 겨울이고 북반구가 겨울이면 남반구는 여름이 된다.

 

지구 자전축의 기울기 외에도 태양 주위를 도는 지구 공전도 계절에 영향을 받는다.

지구는 태양 주위를 타원형 경로로 돌고 있는데 이는 궤도의 어떤 지점에서는 태양에 더 가깝고 다른 지점에서는 더 멀다는 것을 의미한다. 지구가 태양에 가장 가까울수록 더 많은 에너지를 받아 온도가 상승한다. 이것을 근일점이라고 하며 1월 초에 나타난다.

반면에 지구가 태양에서 가장 멀면 에너지를 적게 받아 온도가 떨어진다. 이것을 원일점이라고 하며 7월 초에 나타난다.

 

결론적으로 계절의 변화는 지구의 기울기, 태양 주위를 도는 공전, 타원 경로 등 여러 요인이 복합적으로 작용한 결과이다. 이러한 요인들이 함께 작용하여 지구의 각 부분이 받는 햇빛의 양을 결정하고 계절의 변화가 생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