박쥐는 조류나 쥐류가 아닌 포유류 박쥐목에 속하는 동물이다.
박쥐는 왜 거꾸로 매달려 있을까?
박쥐의 다리는 퇴화되어 몸을 지탱할 수 없다.
퇴화된 이유는 박쥐가 날기 위해서는 무게를 최대한 줄여야 하는데
그중 다리의 무게를 줄이는 쪽으로 진화했다.
다리에 근육이 없고 스스로 서있을 수 없기 때문에 발가락 힘을 이용해 거꾸로 매달려 있다.
다리는 힘줄로만 되어있어 발에 힘을 주지 않고도 자연스럽게 벽이나 나무에 매달릴 수 있는 구조로 되어있다.
물론 거꾸로 매달려 있다고 해서 피가 머리로 쏠리거나 하지 않는다.
거꾸로 매달리는 게 더 자연스럽게 진화되어 있다.
- 재미있는 사실은 잠시동안 서있을 때가 있는데 이때는 용변을 볼 때이다.
박쥐의 형태
박쥐는 샐 수 없을 정도로 많은 종이 있다.
그에 비해 모든 박쥐들의 형태는 비슷하다.
앞다리를 중심으로 5개의 발가락이 있는데
1번째 엄지발가락 외에 2~5번째 발가락이 유난히 길게 발달되어 있고
앞다리에서부터 뒷다리 꼬리까지 익막으로 구성되어 있다.
박쥐의 형태를 보면 새처럼 날기에 적합하게 되어있다.
가장 큰 박쥐는 새 크기에 몸무게가 1.2kg 이상, 날개 폭이 1.5m 이상이고
가장 작은 박쥐는 벌의 크기정도에 몸무게는 1.5g ~ 2g 정도이다.
박쥐의 분포와 특징
북극과 남극을 제외한 모든 지역에 분포되어 있다.
포유류 중 유일하게 새처럼 날 수 있는 동물이다.
야행성인 동물이고 먹이는 대체로 곤충들을 잡아먹지만 과일, 꿀, 꽃가루, 작은 물고기, 피 등을 먹는 박쥐도 있다.
박쥐는 동굴에서 겨울잠을 자는데 겨울잠 기간은 5개월 내외이다.
겨울잠을 자는 동안에는 당연히 아무것도 먹지 않는다.
'이게 왜 궁금하지?' 카테고리의 다른 글
나침반은 어떤 원리일까? (0) | 2023.01.26 |
---|---|
돌고래는 왜 물 위로 점프를 할까? (0) | 2023.01.25 |
하품을 하는 이유는 무엇일까? (0) | 2023.01.23 |
술은 유통기한이 없을까? (2) | 2023.01.22 |
드라이 아이스는 무엇일까?? (0) | 2023.01.21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