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게 왜 궁금하지?

바다의 깊이는 어느 정도일까?

마피 2023. 1. 2. 10:51

바다의-깊이

 

"바다의 깊이는 어느정도일까?"

 

우리가 살고 있는 지구상에는 굉장히 넓고 깊은 바다가 존재한다. 흔히 알고 있는 태평양, 대서양, 인도양 같은 큰 바다뿐만 아니라 육지 속 호수나 강처럼 작은 규모의 바다도 있다고 한다. 그렇다면 깊고 넓은 바다의 수심은 얼마나 될까? 또 어떻게 측정할까?

먼저 해양학에서는 해저면으로부터 평균 해수면까지의 수직 거리를 기준으로 하여 천해(얕은 바다), 심해(깊은 바다)로 구분한다. 이때 보통 1,000m 이내의 얕은 바다를 천해라고 하며, 3,000m 이상의 깊은 바다를 심해라고 한다.

 

일반적으로 대륙붕 위로는 약 200m 정도의 비교적 얕은 물이 분포하는데 이곳을 천해라고 한다. 반대로 대륙사면 아래로는 최대 6,000m까지도 내려갈 수 있는데 이곳을 심해라고 한다.

참고로 현재 인류가 탐사한 최고 깊이는 마리아나 해구의 비티아즈 해연으로서 무려 11,034m에 달한다.

 

이렇게 깊은 바다 속은 빛이 거의 들어오지 않기 때문에 매우 어둡다. 따라서 인간이 직접 들어가서 관측하기 어렵다. 대신 다양한 첨단 장비를 이용하여 간접적으로 연구해야 한다.

수중 음파 탐지기라는 장비를 통해 소리를 감지하면 해당 지점의 위치와 깊이를 알아낼 수 있다.

다음으로 잠수정을 타고 내려가거나 무인 잠수정을 투입하여 영상 촬영을 진행하기도 한다.

이외에도 인공위성 원격탐사 기술을 활용하여 바닷물의 온도 변화를 관찰한다거나 지진파를 분석하여 지각 변동을 예측하기도 한다.

 

바다는 지구 표면의 70%를 차지할 만큼 엄청난 크기를 자랑한다. 하지만 우리 눈으로는 이를 확인하기 어렵다. 만약 내가 바닷속 깊은 곳 까지 내려가본다면 얼마나 깊이 들어갈 수 있을까?

 

우선 바닷물의 밀도는 대략 1g/cm3 로 알려져있다. 밀도란 질량을 부피로 나눈 값인데 쉽게 말해 같은 공간 안에 들어있는 물질의 양 이라고 할 수 있다. 따라서 물의 경우 단위 부피당 무게가 상당히 무겁다. 그렇다면 해수면 기준으로 봤을 때 심해 200m 까지는 4°C 를 유지하며 100m 마다 0.5°C 씩 떨어진다고 한다.

 

여기서 중요한 건 절대 온도라는 건데 섭씨 -273.15 도 라고 한다. 즉 아무리 내려가도 영하 273도 이하로는 내려가지 않는다는 말이다.

 

마지막으로 해양학자들은 최대 수심 6000m 까지 내려갈 수 있다고 하는데 정말 대단한 것 같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