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게 왜 궁금하지?

코를 막으면 왜 맛을 정확히 느끼지 못하는 걸까?

마피 2023. 3. 16. 07:36

코는 얼굴 중앙에 위치해 있고 호흡을 하거나 냄새를 맡는 기관이다.

 

혀는 입안에 위치해 있고 맛을 느끼는 기관이다.

 

 

비강 해부학

 

비강의-해부학을-나타낸-사진

 

  • 전두동(frontal sinus) : 두개골 내에 공기로 채워진 공간.
  • 상비갑개(superior turbinated bone) : 비강의 외측벽 위쪽에서 아래쪽으로 돌출한 부위.
  • 중비갑개(middle turbinated bone) : 비강의 외측벽 중앙 쪽에서 아래쪽으로 돌출한 부위.
  • 하비갑개(inferior nasal concha) : 비강의 아래쪽에 위치한 부위.
  • 비전정(vestibule of nose) : 비강의 전방부.
  • 혀(tongue) : 입안에 위치해 맛을 느끼는 근육.
  • 후구(olfactory bulb) : 중추 신경계
  • 후신경(olfactory nerve) : 후각을 전달하는 감각신경.
  • 접형동(sphenoidal sinus) : 코 안으로 공기가 차 있는 공간.
  • 인두편도(pharyngeal tonsil) : 인두원개에 모여있는 림프소절.
  • 이관(eustachian tube) : 코의 뒤쪽 부분인 비인강과 중이(가운데 귀)를 연결하는 관.
  • 구개수(palatine uvula) : 흔히 목젖이라고 하며 목구멍의 안쪽 위에서부터 아래로 내려온 살.
  • 경구개(hard palate) : 입안의 딱딱한 부분인 입천장.
  • 구강(oral cavity) : 입안의 공간.

 

 

혀의 해부학

 

혀의-해부학을-나타낸-사진

 

  • 회염(epiglottis) 또는 후두개.
  • 구개편도(palatine tonsil) 또는 편도선.
  • 혀 편도(lingual tonsil) 또는 설편도.
  • 분계구(sulcus terminalis)
  • 혀정중고랑(median grove of tongue) 또는 설정중구.
  • 사상유두(filiform papillae)
  • 정중설 후두개주름(plica glossoepiglottica mediana) 또는 정중설 후두 개추벽, 정중혀덮개주름. 
  • 구개설궁(palatoglossal arch) 또는 입천장혀활.
  • 성곽유두(papillae vallatae, vallate papillae) 또는 배상유두, 윤유두.
  • 용상유두(fungiform papillae)

 

 

코를 막으면 왜 맛을 정확히 느끼지 못하는 걸까?

 

쓴 약을 먹거나 맛이 없는 음식을 먹을 때 코를 막고 먹으면 쓴맛도 덜하고 맛을 정확히 못 느낀다. 코를 막으면 왜 맛을 정확히 느끼지 못하는 걸까?

 

미각은 혀와 입의 다른 부분에 있는 미뢰(맛봉오리)에 의해 감지되며 냄새는 코에 있는 수용체에 의해 감지된다. 이 두 가지 감각이 결합되어 풍미에 대한 전반적인 인식을 만든다.

미뢰(맛봉오리) : 혀에서 맛을 느끼는 미세포(Taste cell)가 모여있는 미세구조. 혀 외에도 연구개, 입안의 안쪽 벽, 인두, 후두개에도 미뢰가 있다.

 

코를 막으면 비강을 통해 이동하는 공기와 냄새 분자의 흐름을 차단하고 냄새를 감지하는 수용체를 활성화한다. 이러한 냄새 분자가 없으면 후각이 풍미 경험에 주요한 기여를 하기 때문에 풍미에 대한 전반적인 인식이 감소한다.

 

예를 들어 초콜릿 한 조각을 먹으면 혀의 미뢰에서 단맛을 감지하고 느끼지만 풍부하고 복잡한 맛은 씹고 삼킬 때 방출되는 아로마 화합물 때문이다. 초콜릿을 먹으면서 코를 막고 먹으면 단맛은 느끼지만 아로마 화합물은 감지할 수 없기 때문에 복잡한 맛이 크게 줄어든다.

 

또 코를 막으면 음식의 질감이나 식감에도 변화가 생길 수 있다. 이는 후각이 음식의 질감과 온도를 감지하는 데에도 큰 역할을 하기 때문이다.

 

전반적으로 음식을 먹는 동안 코를 가리는 것은 후각의 기여를 차단하여 풍미에 대한 인식을 감소시키기 때문에 정확한 맛을 느끼지 못하는 것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