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게 왜 궁금하지?

제임스 웹 우주 망원경은 어디까지 관측이 가능할까?

마피 2023. 2. 27. 07:47

 

 

제임스 웹 우주 망원경(JWST : James Webb Space Telescope)은 적외선에 최적화된 대형 우주 관측 망원경이다.

 

 

우주에서-행성을-관측하고-있는-제임스-웹-망원경의-모습
우주에서-행성을-관측하고-있는-제임스-웹-망원경의-측면의-모습
우주에서-행성을-관측하고-있는-제임스-웹-망원경의-아랫면의-모습

 

 

미국항공우주국(NASA)이 유럽우주국(ESA)과 캐나다우주국(CSA)과 협력하여 운용한다.

 

망원경의 이름은 1961년부터 1968년까지 NASA의 국장을 역임하고 우주 비행 탐사 계획(머큐리, 제미니, 아폴로)을 추진한 제임스 에드윈 웹(James E. Webb)의 이름을 따서 지었다.

 

제임스 웹 우주 망원경은 기능이 크게 향상된 허블 우주 망원경의 후속 제품으로 설계되었다.

 

허블 우주 망원경 : 1990년부터 지금까지 운용 중인 우주 망원경이다.

 

 

제임스 웹 우주 망원경의 발사

 

제임스 웹 우주 망원경의 최초 발사 목표는 2007년이었지만 기술적 오류와 전반적인 개발, 예산 등의 이유로 수차례 연기되었고 아리안 5 로켓에 의해 2021년 12월 25일에 발사되었다.

 

아리안 5 로켓 : 유럽우주국(ESA)에서 주관하여 10년을 걸쳐 개발해 제작 발사하는 우주발사체이다. 

 

제임스 웹 우주 망원경의 발사와 전개 과정

 

 

제임스 웹 우주 망원경의 크기와 특징

 

현존하는 우주 망원경 중에서 가장 큰 크기를 가지고 있다.

제임스 웹 우주 망원경에는 직경이 약 6.5m인 대형 거울이 있다. 이 거울은 18개의 육각형 세그먼트로 구성되어 멀리 있는 물체로부터 빛을 모으고 집중시키기 위해 작동한다. 완전히 전개되었을 때 전체 높이는 약 22m이다.

 

거울 세그먼트는 반사율을 높이기 위해  으로 코팅된 베릴륨 재질로 만들어졌다.

 

베릴륨 : 매우 가볍고 단단한 은백색 금속으로 밀도는 알루미늄의 약 1/3에 불과하다. 높은 융점, 뛰어난 열전도율, 높은 중량 대비 강도 등 고유한 특성으로 인해 가치가 높다.
항공 우주, 방위 및 원자력 산업뿐만 아니라 X-ray 장비 및 컴퓨터 부품과 같은 다양한 전자 부품에 자주 사용된다.

 

전반적으로 제임스웹 우주 망원경은 이전 모델인 허블 우주 망원경보다 훨씬 크며 첨단 기술을 통해 우주에서 가장 초기에 가장 먼 물체를 전례 없는 선명도와 정밀도로 관찰할 수 있다.

 

 

제임스 웹 우주 망원경은 어디까지 관측이 가능할까?

 

제임스 웹 우주 망원경은 빅뱅 이후에 형성된 최초의 은하와 같이 우주에서 가장 초기에 가장 먼 천체를 관찰하고 그 특성을 연구하도록 설계되었다. 첨단 기술과 큰 크기는 현재의 망원경이 볼 수 있는 것보다 훨씬 더 희미하고 더 멀리 있는 물체를 관찰할 수 있게 해 준다.

 

정확한 거리는 물체의 밝기, 배경 조명의 간섭량, 망원경 장비의 감도와 같은 다양한 요인에 따라 달라진다. 그러나 최대 135억 광년 떨어져 있는 물체를 관찰할 수 있다. 한마디로 우주의 나이가 약 2억 5천만 년에 불과했던 시간을 거슬러 올라갈 수 있다는 말이다.

 

앞으로 우주의 구성뿐만 아니라 은하, 별, 행성의 형성과 진화에 대한 중요한 정보를 제공할 것으로 기대된다.

 

 

제임스 웹 우주 망원경의 주요 임무

 

  • 빅뱅 이후 형성된 최초의 별과 초기 은하 관찰

첨단 적외선 기능을 사용하여 우주에서 가장 초기의 은하를 연구하여 우주의 형성과 진화에 대한 은하를 조사한다.

  • 별과 행성의 형성과 진화 연구

별과 행성의 탄생을 관찰하고 태양계가 어떻게 형성되었고 우주에 별과 행성이 어떻게 진화했고 진화하는지 조사한다.

  • 은하의 형성과 진화 연구

은하의 형성과 진화를 연구하고 은하가 시간이 지남에 따라 어떻게 변화해 왔으며 오늘날 어떻게 계속 진화하고 있는지 관찰하고 조사한다.

  • 다른 행성의 생명체 가능성 조사

외계 행성의 대기를 연구하고 생명체의 화학적 특징을 찾고 지구 너머에 생명체가 존재하는지 조사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