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게 왜 궁금하지?

하늘은 왜 파랗게 보일까?

마피 2023. 1. 19. 08:05

파란-하늘에-구름

 

태양광에는 적외선, 자외선, 가시광선 등이 있다.

 

태양광에는 적외선, 자외선, 가시광선 이렇게 크게 3가지가 있다.

이중에 사람이 볼 수 있는 것은 가시광선이다.

가시광선은 빨간색, 주황색, 노란색, 초록색, 파란색, 남색, 보라색까지 흔히 말하는 무지개색 범위이다.

빛의 파장이 긴 쪽에서는 빨간색 계열을 보이고 파장이 짧은 쪽에서는 보라색 계열을 보인다.

 

 

하늘은 왜 파랗게 보일까?

 

태양광이 지구 대기층의 질소, 산소 등에 장애물을 지날 때 방해를 받게 되면서 빛이 흩어지는 산란이 일어난다.

대기의 산란 정도는 빛의 파장에 따라 달라지는데 파장이 짧은 보라색 계열의 색이 산란이 가장 강하게 일어난다.

그래서 하늘은 파란색.........응?

아니 그럼 산란이 가장 강하게 일어나는 건 파장이 짧은 보라색인데 왜 하늘은 파란색인 걸까?

보라색 하늘이어야 되는 거 아닌가?

 

바다-위에-무지개

 

가시광선 중 빛의 양이 제일 적은 색은 보라색이다. 파란색보다 빛의 양이 매우 적다.

보라색 부분은 대기층을 통과하기 전에 거의 사라지고 적은 양만 남아 사람 눈까지 도달하기 힘들다.

비슷한 예시로 실제 무지개를 봐도 보라색 빛이 제일 적어 잘 보이지 않는다.